Acclaimed as the most important artist that Germany has produced since Joseph Beuys, Anselm Kiefer belongs to the generation of expressionist German painting that emerged in the 1970s. Especially after the 39th Venice Biennale in 1980, where he represented Germany, his Kiefer's art has sparked worldwide debate and he has continued to produce the most powerful work in contemporary art. In the mid-1980s Kiefer came in contact with texts on alchemy and the Cabala (an ancient mythical Hebrew religion) which further enriched the artist's iconography and provided strong philosophical and poetic foundations for his art. When Germany united in 1991, Kiefer left his country never to return. Along with this self-imposed exile, the theme of German history that had been central to his earlier work shifted to embrace religious, mythical and philosophical texts and literary references.
The universal yet archaic themes that touch upon an impressive intellectual wealth of ideas that render the reading of his work ambiguous and difficult, is further elaborated by the very personal methods of visualizing his subject matter--Kiefer works with his material like a medieval alchemist transforming various material to create large mural size paintings and massive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The works installed in the Kukje Gallery display a wide range of materials used by the artist. Apart from canvas and oil paints, Kiefer uses photography, lead, ash, straw, human hair, miscellaneous plants and flowers (such as sunflowers), ash-covered clothes, and other objects. Kiefer is an artist for whom the suggestive symbolism of his material is very important and he particularly favors lead. According to medieval alchemy it is a metal that embodies memory; it is heavy yet soft, and malleable to lend itself willingly to the artist. Lead is used as a ground for paintings, as well as to shape giant books and installations of "libraries." Apart from the large installation titled Tannhauser, there are several lead book sculptures in the exhibition. Books reappear in Kiefer's art and are significant as records of divine prophecy, as documentations of civilization and the past, and the substance of the human intellect.
The symbolism in Kiefer's art, as well as the complexity of his iconography and subject matter, are now accompanied by volumes of dense writing to decipher his art. However his work has extraordinary "presence" that immediately captivates its audience and entices the viewer to engage in the intense experiencing of Kiefer's art.
키퍼의 도상학이 안고있는 다층적이고도 상대적으로 난해한 주제와 작품의 의미체계 외에 연금술사의 실험실과 같은 작가의 작업 방식은 그의 작업 전반에서 가장 흥미로운 일면이며 이러한 실험실인 작업방식은 특히 1990년대 중반이후 발표된 작업에서 기탄없이 보여진다.
키퍼는 재로가 갖는 상징성을 매우 집요하게 탐구하며 특히 작가가 납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그의 페인팅과 조각작품에서 볼 수 있다. 기억을 담아내는 신비의 금속이라고 연금술에서는 일컫는 납은 멜란콜리의 별인 토성의 금속이며, 연금술사에게는 납의 변환과 변질의 대표적인 금속이란다.키퍼가 말하기를 납은 언제나 작가에게 있어서 "support for ideas" 의 기능을 한다고 한다.
무거우면서도 부드러운 금속이라 직가 의지대로 빚어지는 순종적인 재료이다. 키퍼는 납으로 대형 모양의 조각을 제작하거나 이를 페인팅의 화폭으로서 사용한다. 책은 신의 예언을 담아내고 문명과 과거사를 기록하는 메게체이며 지식의 구체화된 형상으로서 설치작품 탄호이저에서는 14권의 대형납으로 만든 책들 사이에 말라죽은 가시덤블이 어지럽게 침투하고 있다. 맹렬하고 흉포한 자연은 인류문명인 보고의 책의 기능을 마비시키고 있으며 전지전능한 진리의 아카이브는 잃어버린 과거와 역사를 기록한 채 부식된 책장 속에 갖혀있다.
언어의 힘, 이름을 명명함으로서 정체를 밝히는 행위의 위력은 키퍼의 박품에서 작품 주제와 각종 이름의 표기로 등장한다. 키퍼의 작품의 난해한 도상과 다층적인 의미의 모호성은 또 다시 작품에 기록된 이름과 언어의 존재에 의해서 또 다른 의미의 지층을 형성한다.
작가의 필체로 적힌 단어와 이름들은 키퍼의 작품의 해석을 유도하는 장치이자 단서이기도 하다. 키퍼 페인팅에 쓰여진 단어들은 그려지고 붙여진 온갖 재료들의 화면 상에서 또 다른 이질적인 요소이다. 키퍼의 회화표면에는 납, 모래, 밀짚, 재, 머리카락, 고사리와 각종 식물과 꽃, 해바라기 씨 외 다양한 오브제들이 페인트 외에 다른것을 표방하고자 함이 없이 단순히 하나의 잠재적인 물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이미지를 재현하는데 쓰이는 물질이다. 반면 회화에서 밀짚이나 모래같은 일상적인 재료들을 대체하면 그 존재론적 상황이 변경된다. 우리는 더이상 공백으로부터 그려진 어떤 환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어떤 평범한 경험적 사실을 대면하게 된다. 환영적인 페인트 표면위에 비환영적인 재료를 덧붙이는 것은 페인팅을 회화영역으로부터 회화와 조각의 접점으로 이동 시킨다.환영적이 회화적 공간과 비환영적인 재료의 지층은 동시에 감지되며 환영과 물성이 공존한다. 재료의 연금술적 변질, 독창적인 상징체계와 도상학, 폭 넓은 인문학적인 텍스트에 얽혀있는 작품의 테마는 안젤름 키퍼 작품의 "하이퍼 현존성(hyper_presence)"을 연출한다.